본문 바로가기

합리화11

원의 방정식 (원은 왜 함수가 아닐까?) 외우지 말고 이해해보자 이번 포스팅은 원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해요. 원도 수학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데요. 원은 초등학교 때부터 배워 온 동그라미라는 녀석입니다. 수학적으로 어떻게 표현하는지 원의 정의는 무엇인지 또 원은 왜 함수가 아닌 방정식이라고 부르는지 알아볼게요. 원의 정의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원 안에 점 보이시죠. 한 점으로부터 거리가 일정한 점들의 집합 을 원이라고 부릅니다. 빨간 부분을 보면, 한 점은 원의 중심이 되며 거리가 일정하다는 말은 원의 반지름을 나타내게 됩니다. 이것을 수학적으로 표현한 것이 원의 방정식이 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왜 원은 원의 함수라 부르지 않고 원의 방정식이라고 부를까요? 함수 성립 조건에 부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함수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모든 정의역들이 단 하나의 치역만 가져야 합.. 2023. 3. 23.
수학 공부법 (문제를 풀고 난 후가 중요하다)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수학 문제를 풀고 나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 전해드리려고 합니다. 문제를 풀기 전에는 항상 개념 합리화가 당연히 돼있어야 하는 것이 맞고, 합리화가 끝난 후에는 개념을 적용하는 연습을 해야하죠. 문제를 풀면서 적용 연습을 하는 겁니다. 문제를 풀면서 채점까지 다 하는 것까지 좋아요. 중요한 건 바로 문제를 풀고 채점을 한 뒤부터입니다. 채점을 하면 정답이 있고 오답이 있을 겁니다. 정답과 오답 중 어느 것에 집중해야 할까요? 정답? 오답? 아닙니다. 정답, 오답 모두 검토하는 것입니다. 정답, 오답 활용법을 알아볼게요. 정답이라고 해서 그냥 지나치면 안 된다? 정답인 문제라도 풀면서 애매했거나 어찌어찌 풀어서 맞은 문제가 분명 존재할 겁니다. 그럼 이런 문제들을 어떻게 찾아내느냐.. 2023. 3. 13.
로그 이렇게 접근해보자 안녕하세요. 여러분 이번 포스팅은 로그에 관한 내용입니다. 현재 고등학생 수학1 과정에 나오는 부분이죠. 거두절미 하고 바로 들어가보겠습니다. 로그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수에 대해서 알아야합니다. 예시를 들어볼게요. 3을 두번 곱하면 3 곱하기 3이 되고 3^2 이라고 씁니다. (^ 거듭제곱의 표현입니다.) 3^2=9 가 되죠. 각 숫자가 어떤 명칭을 갖는지 알고 있어야 해요. 3은 ' 밑 ' 이라고 하고, 거듭제곱의 수인 2는 ' 지수 ' 라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결과인 9는 ' 진수 ' 라고 부릅니다. 이렇게 명칭을 알아두면 로그로 쉽게 옮겨볼 수 있습니다. 먼저 로그를 어떻게 배치해야 하는지 알아야 하는데 기호가 아닌 말로 표현해볼게요. " 지수는 로그 밑 진수다. " 이게 핵심입니다. 이것을.. 2023. 3. 11.
극한값이 존재하기 위해서는? (함수의 극한값) 안녕하세요. 여러분! 수학 개념 마지막 포스팅이 순간변화율까지 했었네요. 평균변화율과 순간변화율에 대해서 알아봤었죠. 이해가 잘 되셨나요? 따라 하기만 한다면 실력이 많이 늘 거예요. 이번 시간은 극한값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 거예요. 합리화 과정을 꼭 거치고 응용문제를 풀어야 한다는 것! https://twentyforseven.tistory.com/entry/x좌표-증가량-분의-y좌표-증가량-을-무엇이라고-부를까요-함수의-극한 x좌표 증가량 분의 y좌표 증가량 을 무엇이라고 부를까요? (함수의 극한) 안녕하세요. 이제는 새로운 개념에 들어가 볼 거예요. 수 2 함수의 극한입니다. 여러분 평균변화율이라는 단어를 봤을 때 어떤 느낌이 드시나요? 고1 과정에 함수 단원에서 함수의 기울기에 대해 twenty.. 2023. 3.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