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공부6 GDP 국내총생산량이란 (경제 기사 읽기) 이번 포스팅은 경제 지표의 대표라고 할 수 있는 GDP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GDP는 ' 국내총생산량 '이라고 하죠. 국민소득의 지표로도 활용되기도 합니다. ' 일정 기간동안 국가가 생산한 최종생산품들의 시장가치의 합 '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국가가 물건을 얼마나 많이 생산해내는지 나타내는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GDP의 수치로 한 국가의 능력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GDP가 높다는 것은 그만큼 그 국가에서 생산량이 많다는 것이고, 다른 국가보다 능력이 뛰어나다 라고 파악할 수 있습니다. GDP는 ' 금액으로 표시 ' 를 하게 되는데, 예시를 보겠습니다. 두 국가 A 와 B가 있습니다. 두 국가는 배와 오토바이만 생산한다고 가정하겠습니다. A 국가는 배 10척과 오토바이 10대를 만들고 B 국.. 2023. 3. 14. 공급 법칙이란? 가격만 변한다면? 저번 시간은 수요에 대한 포스팅을 올렸습니다. 수요법칙이 궁금하신 분들은 하단에 있는 링크에 들어가 확인해 보시면 됩니다. 이번 포스팅은 공급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공급이란 일정 기간동안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제공자들이 상품을 생산하려는 의사를 말합니다. 일정한 가격에서 생산자가 공급하고자 하는 양을 공급량이라고 합니다. 공급 법칙은 수요법칙과 마찬가지로 제품이나 서비스의 다른 조건을 모두 변함없이 일정하고 가격만 변동된다고 가정을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글을 읽는 여러분이 소비자들에게 제품을 제공하는 생산자가 돼 보는 겁니다. 여러분이 생산하는 제품의 가격이 100원이고 50개를 생산하여 제공을 하고 있었습니다. 만약, 생산하는 제품의 가격이 100원에서 500원으로 늘어났을 때.. 2023. 3. 11. 절대 하면 안되는 ' 보증 ' 에 대해서 알아보자 (악마의 연대보증) 이번 포스팅은 보증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여러분 돈을 빌려주거나 빌린 적이 있나요? 돈 문제는 어느 관계에서든 확실하게 짚고 넘어가야 하는 아주 중요한 부분이죠. 절대 보증 서주면 안 된다 라는 말 한 번이라도 들어보신 적 있지 않나요? 보증을 서게 되면 어떤 문제점이 있길래 그럴까요? 이유를 알면 더 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알게 될 거예요. 보증의 정의는 이렇습니다. ' 채무자가 채권자에게서 빌린 돈을 갚지 않을 경우에 대비하여 제 3자인 보증인의 재산으로 채권자에게 채권을 담보로 계약하는 것. ' [ 채권자 : 돈을 빌려주는 사람 ] [ 채무자 : 돈을 빌린 사람 ] [ 보증인 : 대신 돈을 갚아주는 사람 ] 쉽게 말해, 여러분의 친구가 돈을 빌렸고, 이 친구에게 돈을 빌려준 사람이 여러분의 친.. 2023. 3. 4. 물가란 무엇일까? 안녕하세요. 여러분! 경제 지표에서 아주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물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해볼게요. 소비자 물가지수 이런 말 들어보신 적 있을 거예요. 물가는 어떤 영향력을 가졌기에 중요한 경제지표가 되는 걸까요. 물가가 무엇이냐는 질문을 받았을 때 어떻게 대답하실 건가요 ㅎㅎ 물건의 가격이라고 답한다면 떙!!!입니다. 물가란 무엇일까요? 물가는 상품 가격이라고 알고 계시는 분들도 많은데요. 물가는 물건 가격이 아닌 ' 시장에 존재하는 모든 상품들, 재화, 서비스의 평균적인 가격 수준 ' 을 의미해요. 시장에는 라면도 있고, 자동차도 있고, 핸드폰 서비스... 등등 있고 그렇잖아요. 이런 모든 상품들의 가격을 종합해서 전체적으로 알아보기 쉽게 나타낸 거예요. 이제 물가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대답하실 수 있.. 2023. 3. 1.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