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여러분!
경제 지표에서 아주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물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해볼게요.
소비자 물가지수 이런 말 들어보신 적 있을 거예요.
물가는 어떤 영향력을 가졌기에 중요한 경제지표가 되는 걸까요.
물가가 무엇이냐는 질문을 받았을 때 어떻게 대답하실 건가요 ㅎㅎ
물건의 가격이라고 답한다면 떙!!!입니다.
물가란 무엇일까요?
물가는 상품 가격이라고 알고 계시는 분들도 많은데요.
물가는 물건 가격이 아닌 ' 시장에 존재하는 모든 상품들, 재화, 서비스의 평균적인 가격 수준 ' 을 의미해요.
시장에는 라면도 있고, 자동차도 있고, 핸드폰 서비스... 등등 있고 그렇잖아요.
이런 모든 상품들의 가격을 종합해서 전체적으로 알아보기 쉽게 나타낸 거예요.
이제 물가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대답하실 수 있겠죠? ^^
물가는 어떠한 기준을 따라 지수로 표현하게 되는데 이것을 ' 물가 지수 '라고 하는 거예요.
물가 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나타내고 있죠. 물가 지수를 검색해 보면 금방 알 수 있어요.
검색해 보고 오실래요? 제가 해올게요.
위 사진은 소비자 물가지수인데, 한 달에 한번 발표를 하죠.
보이시나요? 100을 기준으로 물가 지수를 표현한답니다.
예시로 2021년 소비자물가 지수가 100이고 2022년 소비자물가지수가 105라고 해볼게요.
따라서 ' 소비자물가지수가 3% 증가했다. ' 라고 할 수 있는 거죠.
어렵지 않죠?
A라는 사람의 연봉이 5천만 원에서 다음 연도에 6천만 원으로 올랐다고 해볼게요.
이 기간 동안 물가지수도 100에서 105로 5% 증가했다면 A의 소득은 어떻게 변할까요?
연봉 가격으로만 본다면 1000만 원이 상승한 걸 알 수 있죠.
이렇게 눈으로 보이는 소득을 ' 명목 소득 ' 이라고 해요.
정말 실질적으로 A는 1000만 원을 더 받을까요?
비례식을 세워보면 알 수 있습니다.
물가 지수가 105% 오른 상태에 연봉이 6천만 원인 경우랑
물가지수가 오르지 않은 경우에서 연봉만 오른 경우의 금액을 x라고 해볼게요.
6000 : x = 105 : 100
105x = 600000
x = 5714.28571 이 되죠.
약 5714만 원이 됩니다.
따라서, 물가 지수가 오름에 따라 1000만 원이 아닌 714만 원이 실제로 오른 A의 추가 연봉 금액이랍니다.
이렇게 물가지수에 따른 소득을 ' 실직소득 ' 이라고 해요.
1000만 원이 오른 것이 아닌 714만 원이 오른 것입니다. ㅜㅜ
이렇게 물가에 대해서 알아봤는데, 이해가 잘 가셨나요?
뉴스나 기사에서 물가지수가 나올 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그럼, 다음 시간에 만나요!!
'경제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대 하면 안되는 ' 보증 ' 에 대해서 알아보자 (악마의 연대보증) (0) | 2023.03.04 |
---|---|
순환출자란? 지주회사로 (0) | 2023.03.02 |
기준금리란 무엇일까? (0) | 2023.02.28 |
원달러 환율 1320원 돌파 작년 12월 16일 이후 최고치 달성(환율에 대하여) (0) | 2023.02.27 |
*안보면 후회합니다. 투자 하기 전 꼭 알아야 하는 경제 개념. (순환 출자의 원리인 상호출자) (0) | 2023.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