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개념24

추세선, 워렌버핏도 이용한다 (주식 차트)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추세선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정말 유명한 주식의 왕 워렌 버핏도 이용한다는 지표이기도 합니다. 워렌 버핏의 투자 통찰력은 정말 대단한 것 같습니다. 투자왕 워렌 버핏도 사용하는 추세선, 바로 알아보도록 합시다. 추세는 트렌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요즘 뭐 이런 게 트랜드라더라~" 라고 많이 하잖아요. 유행을 탄다고도 많이 합니다. 하지만, 유행은 초반에는 엄청난 상승을 이어가다가 잠시 잠잠해지다가 쥐도 새도 모르게 다른 유행이 찾아옵니다. 이처럼 유행은 한번 타면 엄청 흥하다가 쉽게 식어버리곤 합니다. 또, 이런 말이 있죠. ' 유행은 돌고 돈다 ' 라는 말. 주식 차트나, 암호화폐 차트도 마찬가지입니다. 어느 종목이 추세를 타게 되면 많이 상승하다가 잠잠해졌다가 하락.. 2023. 3. 15.
GDP 국내총생산량이란 (경제 기사 읽기) 이번 포스팅은 경제 지표의 대표라고 할 수 있는 GDP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GDP는 ' 국내총생산량 '이라고 하죠. 국민소득의 지표로도 활용되기도 합니다. ' 일정 기간동안 국가가 생산한 최종생산품들의 시장가치의 합 '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국가가 물건을 얼마나 많이 생산해내는지 나타내는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GDP의 수치로 한 국가의 능력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GDP가 높다는 것은 그만큼 그 국가에서 생산량이 많다는 것이고, 다른 국가보다 능력이 뛰어나다 라고 파악할 수 있습니다. GDP는 ' 금액으로 표시 ' 를 하게 되는데, 예시를 보겠습니다. 두 국가 A 와 B가 있습니다. 두 국가는 배와 오토바이만 생산한다고 가정하겠습니다. A 국가는 배 10척과 오토바이 10대를 만들고 B 국.. 2023. 3. 14.
시가,종가,상한가,하한가 (주가의 종류) 여러분 안녕하세요. 제 글을 보러 와주시는 분들이 조금 늘어난 거 같아 기분이 좋네요. 저번 시간에는 주식 시장의 여러가지 지수에 대해서 알아봤죠? 이해가 잘 가셨나요? 그랬다면 참 다행이에요. 이번 포스팅은 주식 가격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볼 거예요. 간단하니까 금방 읽고 이해할 수 있을 거예요. 주식 시장은 열리고 닫히는 시간대가 있죠. 오전 9시에 개장을 하여 15시 30분에 폐장을 하게 됩니다. 9시에 주식 시장이 열릴 때의 가격을 뭐라 할까요? 한자로 처음 시 자를 써서 ' 시가 '라고 부릅니다. 시작한 가격이란 거죠. 15시 30분에 주식시장은 끝나게 되는데, 한자로 마칠 종 자를 써서 ' 종가 '라고 부릅니다. 당일 날 마친 가격이라는 겁니다. 주식 시장이 진행되는 약 6시간 반 동안 주가는 .. 2023. 3. 12.
공급 법칙이란? 가격만 변한다면? 저번 시간은 수요에 대한 포스팅을 올렸습니다. 수요법칙이 궁금하신 분들은 하단에 있는 링크에 들어가 확인해 보시면 됩니다. 이번 포스팅은 공급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공급이란 일정 기간동안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제공자들이 상품을 생산하려는 의사를 말합니다. 일정한 가격에서 생산자가 공급하고자 하는 양을 공급량이라고 합니다. 공급 법칙은 수요법칙과 마찬가지로 제품이나 서비스의 다른 조건을 모두 변함없이 일정하고 가격만 변동된다고 가정을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글을 읽는 여러분이 소비자들에게 제품을 제공하는 생산자가 돼 보는 겁니다. 여러분이 생산하는 제품의 가격이 100원이고 50개를 생산하여 제공을 하고 있었습니다. 만약, 생산하는 제품의 가격이 100원에서 500원으로 늘어났을 때.. 2023. 3.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