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개념24 수요 법칙이란? 가격만 변한다면? 가격이 상승한다면 수요량은 감소한다. 가격이 하락한다면 수요량은 증가한다. 단, 가격을 제외한 다른 조건들이 일정하다고 가정일 경우라는 점. 이번 포스팅은 수요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수요는 무엇일까요? 수요란 일정 기간 동안 소비자들이 상품을 구입하려는 의사를 수요라고 합니다. 수요량은 일정한 가격에서 소비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소비하고자 하는 양을 말하죠. 수요량은 소비자의 소비량 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렇다면 수요법칙은 무엇일까요? 수요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소비자가 소비하려는 양을 말한다고 했습니다. 가정이 필요합니다. 제품과 서비스의 가격을 제외한 모든 조건은 일정하다고 가정을 해보겠습니다. 쉽게 말해, 가격만 변동한다는 조건을 세운 겁니다. 만약, 가격이 상승한다면 소비자들은 구매.. 2023. 3. 11. 공매도란? 주가가 떨어질 것을 예상해서 주식을 미리 팔다 (2부) 영화 ' 돈 ' 전 포스팅에 이어 공매도에 대해 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주식을 빌려 현금화시킨 후 주가가 떨어질 때 구입하여 차익을 챙기는 것 ' 이 공매도 라고 했습니다. A주식의 주가가 1만원 일 때, 1주를 빌려 이것을 팔아 현금 1만 원을 확보하고, A의 주가가 떨어져 5천 원이 됐을 경우 현금화해두었던 1만 원으로 5천 원짜리 주식을 사들여 갚는 방식입니다. 이때 차익 5천 원이 발생하는 것이죠. 공매도는 주가가 하락해야 이익을 챙길 수 있습니다. 반면, 주가가 상승할 경우에는 어떻게 될까요? 주가는 주식의 가격이죠. 가격이 0 밑으로 내려갈 수 있을까요? 아니죠. 아무리 떨어져도 주가는 0원까지만 떨어질 수 있죠. 반대로 생각해본다면 주가가 상승한다면 어디까지 상승할 수 있을까요? 네, ' 가격의 상승.. 2023. 3. 8. 공매도란? 주가가 하락할 것을 예상해서 주식을 미리 팔다. (1부) 영화 ' 돈 ' 안녕하세요. 여러분. 이번 포스팅에서는 공매도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공매도의 정의는 ' 주식을 빌린 후 미리 팔아서 주식으로 되갚는 행위 ' 라고 합니다. 이것을 ' 차입공매도 ' 라고 합니다. ( 무차입 공매도는 시장에 있는 주식을 미리 파는 것이지만, ' 시장에 없는 주식을 미리 파는 행위 '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불법이고 이 행위를 ' 무차입공매도 ' 라고 합니다. ) 차입공매도의 가장 큰 특징은 주식을 빌린다 는 점입니다. 주식을 빌렸기 때문에 무조건 주식으로 되갚아야 하며 , 주가가 하락할 것을 예상하여 주가 하락 전 빌린 주식을 미리 팔아 현금화시키는 것이죠. 이렇게 특징만 보면 와닿지 않으니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A는 기업을 운영하고 있고, B가 A에게 가서 주식 1주를 빌립니.. 2023. 3. 7. 주식 투자에 참고될 출자전환에 대하여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전 포스팅에서 자산에 대해 알아봤어요. 자산은 자본과 부채로 이루어져 있다고 했죠. 이번 포스팅을 설명하기 위해 저번 포스팅을 먼저 했습니다! 안 보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먼저 읽고 오시면 좋을 듯합니다. https://twentyforseven.tistory.com/entry/자산은-무엇으로-이뤄져-있을까 자산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을까? 여러분 저번 포스팅에 자본과 자본금에 대한 얘기를 했었어요. https://twentyforseven.tistory.com/entry/자본과-자본금의-차이를-아시나요 자본과 자본금의 차이를 아시나요? 자본금을 늘리기 위해서는? twentyforseven.tistory.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출자전환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출자전환은 부채를 자본으로.. 2023. 3. 6.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