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개념40 연립부등식 , 식으로 푸는 풀이법을 알기 전에 그래프 모양으로 해석하는 풀이법을 무조건 알아야 한다. ( 함수 그래프 이해하기 ) 연립부등식 , 식으로 푸는 풀이법을 알기 전에 그래프 모양으로 해석하는 풀이법을 무조건 알아야 한다. ( 함수 그래프 이해하기 ) 안녕하세요. 연립 부등식에서 식으로 푸는 방법을 아는 학생분들은 많습니다. 하지만, 정작 그래프 모양으로 해석해서 설명할 수 있는 학생분들은 매우 드물더라구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함수의 대소관계를 통해서 그래프를 그려보려고 합니다. 이해하고 나면 엄청난 힘을 발휘할 수 있는 개념 부분이니까 꼭 집중해서 익히시길 바랍니다. 함수의 대소관계를 쉽게 풀어서 말해보자면, 함숫값의 크기를 비교한다는 소리입니다. 함숫값은 곧 y 값이란 소리죠. 그럼 바로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차함수의 연립 부등식으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이차함수의 그래프 모양은 두 가지죠. 양수의 그래프 모양. .. 2023. 4. 18. 절댓값 함수 그래프 모양, 개념만 안다면 충분히 쉽게 그릴 수 있다. 안녕하세요. 여러분. 저번 포스팅에서 절댓값에 대한 개념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절댓값의 정의는 뭐였을까요? 복습이 가장 중요합니다. https://twentyforseven.tistory.com/entry/절댓값에-대해-알아보자 절댓값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여러분 이번 포스팅에서는 수학 문제에서 마주칠 때 많이 당황스러워하는 절댓값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절댓값 하면 떠오르는 것이 있나요? 제가 과외를 하면서 교과서로 twentyforseven.tistory.com 절댓값은 수직선 위에 0으로부터 거리가 같은 수를 말한다고 했었죠. 따라서, 절댓값을 씌운 음수는 양수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했습니다. 이 말을 다시 생각해 본다면 함숫값이 음수면 양수가 된다 라고 할 수 있겠죠. 즉, 부호가 .. 2023. 4. 18. 절댓값에 대해 알아보자 절댓값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여러분 이번 포스팅에서는 수학 문제에서 마주칠 때 많이 당황스러워하는 절댓값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절댓값 하면 떠오르는 것이 있나요? 제가 과외를 하면서 교과서로 대부분 수업을 진행을 합니다. 절댓값에 대해서 수업하기 위해서 교과서를 보던 중, 정말 교과서가 최고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교과서에는 모든 생각의 재료가 다 들어있다는 생각이 들었죠. 교과서 속 절댓값의 정의는 이렇습니다. ' 수직선 위에 원점으로부터 거리가 같은 수 ' 라고 나와있습니다. 정말 잘 표현이 돼있어서 감탄이 나왔습니다. 저 문장을 대체할 설명이 있을까요? 맞습니다. 절댓값은 수직선 위에 원점으로부터 거리가 같은 수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절댓값이 씌어지면 음수는 양수로 나온다라고 외우는 .. 2023. 4. 17. 우함수 기함수 이렇게 알아두자 ( 식을 외우지 말고, 이해해보자 ) 우함수 기함수 이렇게 알아두자 ( 식을 외우지 말고, 이해해보자 ) 안녕하세요. 여러분 이번 포스팅에서는 수학에서 정말 많이 나오는 식에 대해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바로 우함수와 기함수 입니다. 우함수를 식으로 어떻게 표현하는지, 기함수를 어떻게 표현하는지 외우는 학생분들이 많습니다. 절대 외워서는 안 된다는 거 항상 강조드렸어요. 외우는 것은 정확히 이해를 하고 외워야 한다고 말했죠. 그럼, 우리 외우기 전에 정확하게 이해를 하고 넘어가 볼까요? 우함수와 기함수를 이해하기 위해서 먼저 정의를 알아야 합니다. 우함수는 함수를 좌우 대칭을 한 함수를 말합니다. 좌우대칭을 했다는 것은 무엇일까요? 바로 y 축 대칭을 한 것이죠. 기함수는 함수를 원점 대칭을 한 함수를 말합니다. 원점 대칭을 했다는 것을 무엇.. 2023. 4. 15. 이전 1 2 3 4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