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학 개념

절댓값 함수 그래프 모양, 개념만 안다면 충분히 쉽게 그릴 수 있다.

by 24for7 2023. 4. 18.

 

안녕하세요. 여러분.

저번 포스팅에서 절댓값에 대한 개념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절댓값의 정의는 뭐였을까요?

복습이 가장 중요합니다. 

 

https://twentyforseven.tistory.com/entry/절댓값에-대해-알아보자

 

절댓값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여러분 이번 포스팅에서는 수학 문제에서 마주칠 때 많이 당황스러워하는 절댓값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절댓값 하면 떠오르는 것이 있나요? 제가 과외를 하면서 교과서로

twentyforseven.tistory.com

 

절댓값은 수직선 위에 0으로부터 거리가 같은 수를 말한다고 했었죠.

따라서, 절댓값을 씌운 음수는 양수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했습니다. 

이 말을 다시 생각해 본다면 함숫값이 음수면 양수가 된다 라고 할 수 있겠죠.

즉, 부호가 바뀐다고 생각하면 좋다고 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함수 그래프에 절댓값이 씌워진다면 그래프가 어떻게 되는지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절댓값을 마주칠 때마다 걱정되거나 겁이 났다면,

이번 포스팅으로 자신감을 얻고 다시 문제에 부딪혀 보실 수 있을 겁니다. 

그럼 바로 설명 들어가보겠습니다. 

 

일단, 좌표평면을 먼저 보겠습니다. 

위 사진과 같이 좌표평면에서 y 값이 즉 함수의 결과값인 함숫값이 됩니다. 

그리고 x 축을 기준으로 x 축 위에 있는 함숫값은 양수이며, x 축 아래에 있는 함숫값은 음수가 됩니다. 

이것을 머리에 기억해두고, 함수 그래프를 그리러 가볼까요??

 

먼저, 일차함수인 y = |x| 그래프입니다. 

 

x축 기준으로 그래프가 x 축 밑에 있는 선은 음수이므로

절댓값이 씌어진다면 부호가 바뀌어서 빨간 선처럼 위로 올라가게 됩니다. 

이게 끝입니다. 하나도 어렵지 않을겁니다.

 

다음으로 이차함수인 y = |x^2 - 1| 그래프입니다. ( ^ 거듭제곱의 표현입니다. )

 

그래프 모양이 정확하지 않은 점 이해 부탁드려요 ㅜㅜ

 

마찬가지로 x 축을 기준으로 보면 됩니다. x축 밑에 있는 그래프 모양은 음수이므로 화살표 방향으로 

위로 빨간 선처럼 움직이게 됩니다. 어렵지 않죠?

 

삼차함수나 사차함수도 마찬가지니까 잘 이해가 갔으면 좋겠습니다.

이제 절댓값이 나오면 겁먹지 않고, 자신 있게 부딪힐 수 있는 여러분들이 되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ㅎㅎ

 

 

오늘은 함수 그래프에 절댓값을 씌우면 그래프가 어떻게 변하는지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우리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의  수험생 여러분들.

항상 건강 먼저 챙기시고, 힘내시길 바랍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보자구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