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개념19 시가,종가,상한가,하한가 (주가의 종류) 여러분 안녕하세요. 제 글을 보러 와주시는 분들이 조금 늘어난 거 같아 기분이 좋네요. 저번 시간에는 주식 시장의 여러가지 지수에 대해서 알아봤죠? 이해가 잘 가셨나요? 그랬다면 참 다행이에요. 이번 포스팅은 주식 가격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볼 거예요. 간단하니까 금방 읽고 이해할 수 있을 거예요. 주식 시장은 열리고 닫히는 시간대가 있죠. 오전 9시에 개장을 하여 15시 30분에 폐장을 하게 됩니다. 9시에 주식 시장이 열릴 때의 가격을 뭐라 할까요? 한자로 처음 시 자를 써서 ' 시가 '라고 부릅니다. 시작한 가격이란 거죠. 15시 30분에 주식시장은 끝나게 되는데, 한자로 마칠 종 자를 써서 ' 종가 '라고 부릅니다. 당일 날 마친 가격이라는 겁니다. 주식 시장이 진행되는 약 6시간 반 동안 주가는 .. 2023. 3. 12. 공급 법칙이란? 가격만 변한다면? 저번 시간은 수요에 대한 포스팅을 올렸습니다. 수요법칙이 궁금하신 분들은 하단에 있는 링크에 들어가 확인해 보시면 됩니다. 이번 포스팅은 공급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공급이란 일정 기간동안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제공자들이 상품을 생산하려는 의사를 말합니다. 일정한 가격에서 생산자가 공급하고자 하는 양을 공급량이라고 합니다. 공급 법칙은 수요법칙과 마찬가지로 제품이나 서비스의 다른 조건을 모두 변함없이 일정하고 가격만 변동된다고 가정을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글을 읽는 여러분이 소비자들에게 제품을 제공하는 생산자가 돼 보는 겁니다. 여러분이 생산하는 제품의 가격이 100원이고 50개를 생산하여 제공을 하고 있었습니다. 만약, 생산하는 제품의 가격이 100원에서 500원으로 늘어났을 때.. 2023. 3. 11. 수요 법칙이란? 가격만 변한다면? 가격이 상승한다면 수요량은 감소한다. 가격이 하락한다면 수요량은 증가한다. 단, 가격을 제외한 다른 조건들이 일정하다고 가정일 경우라는 점. 이번 포스팅은 수요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수요는 무엇일까요? 수요란 일정 기간 동안 소비자들이 상품을 구입하려는 의사를 수요라고 합니다. 수요량은 일정한 가격에서 소비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소비하고자 하는 양을 말하죠. 수요량은 소비자의 소비량 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렇다면 수요법칙은 무엇일까요? 수요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소비자가 소비하려는 양을 말한다고 했습니다. 가정이 필요합니다. 제품과 서비스의 가격을 제외한 모든 조건은 일정하다고 가정을 해보겠습니다. 쉽게 말해, 가격만 변동한다는 조건을 세운 겁니다. 만약, 가격이 상승한다면 소비자들은 구매.. 2023. 3. 11. 공매도란? 주가가 떨어질 것을 예상해서 주식을 미리 팔다 (2부) 영화 ' 돈 ' 전 포스팅에 이어 공매도에 대해 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주식을 빌려 현금화시킨 후 주가가 떨어질 때 구입하여 차익을 챙기는 것 ' 이 공매도 라고 했습니다. A주식의 주가가 1만원 일 때, 1주를 빌려 이것을 팔아 현금 1만 원을 확보하고, A의 주가가 떨어져 5천 원이 됐을 경우 현금화해두었던 1만 원으로 5천 원짜리 주식을 사들여 갚는 방식입니다. 이때 차익 5천 원이 발생하는 것이죠. 공매도는 주가가 하락해야 이익을 챙길 수 있습니다. 반면, 주가가 상승할 경우에는 어떻게 될까요? 주가는 주식의 가격이죠. 가격이 0 밑으로 내려갈 수 있을까요? 아니죠. 아무리 떨어져도 주가는 0원까지만 떨어질 수 있죠. 반대로 생각해본다면 주가가 상승한다면 어디까지 상승할 수 있을까요? 네, ' 가격의 상승.. 2023. 3. 8.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