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 시간은 수요에 대한 포스팅을 올렸습니다.
수요법칙이 궁금하신 분들은 하단에 있는 링크에 들어가 확인해 보시면 됩니다.
이번 포스팅은 공급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공급이란 일정 기간동안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제공자들이 상품을 생산하려는 의사를 말합니다.
일정한 가격에서 생산자가 공급하고자 하는 양을 공급량이라고 합니다.
공급 법칙은 수요법칙과 마찬가지로 제품이나 서비스의 다른 조건을 모두 변함없이 일정하고 가격만 변동된다고 가정을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글을 읽는 여러분이 소비자들에게 제품을 제공하는 생산자가 돼 보는 겁니다.
여러분이 생산하는 제품의 가격이 100원이고 50개를 생산하여 제공을 하고 있었습니다.
만약, 생산하는 제품의 가격이 100원에서 500원으로 늘어났을 때 생산자인 여러분은 어떻게 하실 건가요?
당연히, 가격이 올랐으니 더 많이 생산하여 수익을 좀 더 늘리려고 하지 않을까요?
반대로, 제품의 가격이 50원으로 줄어들었습니다. 어떻게 하실 건가요?
가격이 줄었다는 것은 소비자들의 소비량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굳이 많이 생산해서 손해를 볼 필요가 없어지겠죠.
결국, 생산량은 줄일 것입니다.
위 사진은 공급 법칙의 공급 곡선입니다.
가격이 오를수록 생산량은 늘어나고, 가격이 내려갈수록 생산량은 줄어들게 됩니다.
(단, 제품의 다른 조건은 변하지 않고 가격만 변하는 경우입니다.)
수요 곡선과 차이가 있죠.
<정리>
가격이 상승한다면 생산량은 증가한다.
가격이 하락한다면 생산량은 줄어든다.
단, 가격을 제외한 다른 조건들은 일정하다는 점.
https://twentyforseven.tistory.com/entry/수요-법칙이란-가격만-변한다면
수요 법칙이란? 가격만 변한다면?
가격이 상승한다면 수요량은 감소한다. 가격이 하락한다면 수요량은 증가한다. 단, 가격을 제외한 다른 조건들이 일정하다고 가정일 경우라는 점. 이번 포스팅은 수요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
twentyforseven.tistory.com
공급 법칙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수요 법칙과는 좀 차이가 있죠.
수요 법칙은 가격에 따라 소비량이 반대가 되지만, 공급 법칙은 가격에 따라 생산량이 똑같이 변화한다는 점이 포인트입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만나요!

'경제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GDP 국내총생산량이란 (경제 기사 읽기) (0) | 2023.03.14 |
---|---|
시가,종가,상한가,하한가 (주가의 종류) (2) | 2023.03.12 |
수요 법칙이란? 가격만 변한다면? (0) | 2023.03.11 |
공매도란? 주가가 떨어질 것을 예상해서 주식을 미리 팔다 (2부) 영화 ' 돈 ' (0) | 2023.03.08 |
공매도란? 주가가 하락할 것을 예상해서 주식을 미리 팔다. (1부) 영화 ' 돈 ' (0) | 2023.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