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포스팅에 이어 공매도에 대해 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주식을 빌려 현금화시킨 후 주가가 떨어질 때 구입하여 차익을 챙기는 것 ' 이 공매도 라고 했습니다.
A주식의 주가가 1만원 일 때, 1주를 빌려 이것을 팔아 현금 1만 원을 확보하고, A의 주가가 떨어져 5천 원이 됐을 경우
현금화해두었던 1만 원으로 5천 원짜리 주식을 사들여 갚는 방식입니다. 이때 차익 5천 원이 발생하는 것이죠.
공매도는 주가가 하락해야 이익을 챙길 수 있습니다.
반면, 주가가 상승할 경우에는 어떻게 될까요?
주가는 주식의 가격이죠.
가격이 0 밑으로 내려갈 수 있을까요? 아니죠. 아무리 떨어져도 주가는 0원까지만 떨어질 수 있죠.
반대로 생각해본다면 주가가 상승한다면 어디까지 상승할 수 있을까요? 네, ' 가격의 상승에서는 제한된 가격이 없습니다. '
올라가면 끝없이 올라갈 수 있는 것이죠.
따라서, 공매도는 이익은 한정돼있지만 ' 손해가 제한이 없는 무제한이라는 점 ' 입니다.
정말 중요한 부분이고, 공매도를 할 경우에는 신중하게 해야 하는 것이죠.
A주식의 주가가 1만 원일 때 1주를 빌려 현금화시킵니다. 1만 원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A주식의 주가가 1만 5천 원으로 상승을 했고 보유하고 있던 현금 1만원과 추가 비용 5천원으로 1주를 사들입니다.
빌린 1주를 다시 갚습니다. 추가 비용 5천 원이 손해가 됩니다.
공매도는 이렇게 주가가 상승하게 된다면 손해를 보게 되는 것이죠.
영화 ' 돈 ' 보셨나요?
번호표의 지시대로 류준열이 주문을 넣고 빠지고 해서 수익을 얻죠.
공매도를 정확하게 보여주는 장면을 볼 수 있었습니다.
공매도는 주가가 하락해야 수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번호표는 주가를 떨어뜨리기 위해
해당 회사의 주가 하락을 위해 사고를 일부러 내거나 심지어 사람을 죽이는 지경까지 가게 됩니다.
이렇게 악재를 만들어 일부러 주가를 떨어뜨려 수익을 챙겨가는 모습이 영화에 고스란히 나옵니다.
영화 돈을 다시 보시게 되거나 아니면 새로 보시는 분들은 공매도의 특징을 알고 본다면 영화가 더 이해가 잘 될 거예요.
<공매도의 특징>
주식을 빌렸다면 무조건 주식으로 되갚아야 한다.
주가가 하락할 경우 수익이 발생한다.
반면, 주가가 상승하게 된다면 손해는 제한이 없다.
이렇게 공매도의 특징에 대해서 2번의 포스팅으로 알아봤습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봬요~

'경제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급 법칙이란? 가격만 변한다면? (0) | 2023.03.11 |
---|---|
수요 법칙이란? 가격만 변한다면? (0) | 2023.03.11 |
공매도란? 주가가 하락할 것을 예상해서 주식을 미리 팔다. (1부) 영화 ' 돈 ' (0) | 2023.03.07 |
주식 투자에 참고될 출자전환에 대하여 알아보자 (0) | 2023.03.06 |
자산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을까? (0) | 2023.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