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개념

주식 투자에 참고될 출자전환에 대하여 알아보자

by 24for7 2023. 3. 6.

안녕하세요.

전 포스팅에서 자산에 대해 알아봤어요.

자산은 자본과 부채로 이루어져 있다고 했죠.

이번 포스팅을 설명하기 위해 저번 포스팅을 먼저 했습니다!

안 보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먼저 읽고 오시면 좋을 듯합니다.

 

https://twentyforseven.tistory.com/entry/자산은-무엇으로-이뤄져-있을까

 

자산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을까?

여러분 저번 포스팅에 자본과 자본금에 대한 얘기를 했었어요. https://twentyforseven.tistory.com/entry/자본과-자본금의-차이를-아시나요 자본과 자본금의 차이를 아시나요? 자본금을 늘리기 위해서는?

twentyforseven.tistory.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출자전환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출자전환은 부채를 자본으로 바꾼다 해서

부채는 대출이므로 대출의 출자와 자본의 자를 따서 출자전환이라고 한답니다.

 

 

기업은 대출을 받았고 기업에 돈을 빌려준 채권자가 있겠죠. 

채권자가 주주가 되는 것 이 출자전환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기업은 채권자에게 돈을 빌렸으므로 채권자에게 이자를 내야 한다고 위 링크에서 설명했습니다.

또한, 기업은 수익이 나면 배당금을 주주들에게 지급한다고도 했죠.

출자전환을 통해서 채권자가 해당 기업의 주주가 되면 이자 대신 배당금을 받는 것입니다.

주주 입장에서는 어떤 것이 유리할까요?

이자는 기업이 수익이 나지 않아도 기업에게서 받아야 하고, 배당금은 기업에서 수익이 난 경우에만 지급이 되는 방식입니다.

당연히 안정적인 이자를 받는 것이 채권자에게는 좋겠죠?

따라서, 채권자 입장에서는 출자전환이 좋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볼게요.

A기업은 자산이 100억이고 자본은 20억 부채는 80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기업은 엄청난 이자 부담이 있겠죠.

따라서, A기업에 돈을 빌려준 채권자는 회사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고려하여 A기업의 주주로 전환을 할 수 있습니다.

채권자는 이 기업의 주주가 되어 미래에 회사의 성장이 이루어지고 재정 상태가 안정적으로 바뀌면 이때 빌려준 돈을 받는 방식입니다.

채권자 입장에서는 안정적인 이자를 받는 것이 좋겠지만 출자전환을 하면 안정적인 이자를 포기해야 하는 상황이 옵니다.

이 상황에 대비하여 채권자는 빌려준 돈 전체를 출자전환을 시켜주지 않고 

빌려준 돈의 몇 퍼센트만 출자 전환을 해줍니다.

 

<정리>

출자전환 : 부채를 자본으로 전환하는 것. 채권자가 주주가 되는 것.

채권자가 빌려준 돈을 자본금으로 돌리는 것.

채권자는 안정적인 이자를 포기해야 하는 상황 발생. 

따라서 출자전환은 채권자의 희생이 따름.

 

 

이렇게 출자전환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경제 기사에서 출자전환이라는 용어가 나온다면 이해하며 볼 수 있겠죠?

도움이 되길 바라며

다음 포스팅에서 뵙도록 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