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번 시간은 순환출자의 원리인 상호출자에 대해 포스팅을 했어요.
상호출자의 문제점을 알 수 있었죠.
이번 시간은 순환 출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상호출자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https://twentyforseven.tistory.com/entry/안보면-후회합니다-투자-하기-전-꼭-알아야-하는-경제-개념-순환-출자의-원리인-상호출자
*안보면 후회합니다. 투자 하기 전 꼭 알아야 하는 경제 개념. (순환 출자의 원리인 상호출자)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상호 출자에 관한 얘기를 포스팅해보려고 해요. 상호 출자라는 단어가 많이 낯설 수 있어요. 공부한 토대로 이해가기 쉽게 포스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본금에 대
twentyforseven.tistory.com
상호출자가 법으로 금지되어 대기업들이 적은 자금으로 계열 회사들을 지배하기 위해 순화출자를 하게 됩니다.
상호출자에 문제점이 있으니 당연히 순환출자도 안 좋겠죠. 순환출자도 법적으로 금지가 됩니다.
법적으로 지주회사로 바꾸라고 명시가 되고 대기업들은 구조를 바꿔야 하는 상황이 된 것이죠.
순환출자는
' 적은 자금으로 지배구조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
기업입장에서 유리했지만,
반면, 지주회사 체제로 바꾸게 된다면 자금이 훨씬 많이 드는 문제점 이 발생합니다.
순환출자는 상호출자를 여러 기업을 운영하여 순환적으로 반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집니다.
상호출자는 두 기업 간에서 이루어졌지만, 여러 기업을 상대로 상호출자 방식을 취한다고 보면 돼요.
순환출자는 적은 자금으로 지배 구조를 가질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문제점도 발생할 수 있겠죠.
여러 기업을 상대로 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한 기업이 부실해지면 순환출자로 연결된 다른 기업들도 막대한 피해를 입게 된다는 것이죠.
또한, 여러 기업을 두고 있기 때문에 경영권 방어에 취약하고 업무를 한 기업으로 몰아주는 상황도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문제들 때문에 법적으로 순환출자도 금지가 되고 지주회사 체제로 바뀌게 되는 것입니다.
여러분, 회사 이름에 홀딩스로 끝나는 회사를 들어보신 적 있나요?
회사 이름 끝에 홀딩스가 붙은 기업이 지주회사입니다.
홀딩스 회사가 여러 기업의 지분을 보유하고 운영을 하는 것입니다.
법적으로 지주회사의 규제가 가해지게 됩니다.
만약, 지주회사가 3개의 기업을 둔다면 이 기업들이 지주회사의 자회사들이 되는 겁니다.
지주회사가 운영하는 자회사가 아닌 다른 회사의 주식은 보유가 불가해지게 되고,
자회사들 중 상장한 기업이 있다면 지주회사는 상장된 자회사의 지분 20%를 보유해야 하며,
상장되지 않은 자회사의 40% 지분을 보유를 무조건 해야 하는 조건이 생깁니다.
이렇게 순환출자의 문제점과 지주회사의 특징과 규제 조건을 알아봤습니다.
조금 딱딱할 수 있지만 뉴스나 경제기사에서 지주회사나 순환출자 관련된 이슈가 나온다면
좀 더 이해를 하면서 접하실 수 있을 거예요.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시간에 만나요~
'경제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산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을까? (0) | 2023.03.05 |
---|---|
절대 하면 안되는 ' 보증 ' 에 대해서 알아보자 (악마의 연대보증) (0) | 2023.03.04 |
물가란 무엇일까? (0) | 2023.03.01 |
기준금리란 무엇일까? (0) | 2023.02.28 |
원달러 환율 1320원 돌파 작년 12월 16일 이후 최고치 달성(환율에 대하여) (0) | 2023.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