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등학교수학7

항등함수란 이번 포스팅은 항등함수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항등의 뜻을 알아본다면 항은 ' 항상 ' 등은 한자의 ' 같을 등 ' 자 입니다. 항상 같다는 뜻이죠. 무엇이 같다는 것일까요? x값과 y값이 항상 같다는 뜻입니다. (1,1) (2,2) (3,3) (4,4) ... 좌표처럼 x와 y값이 항상 같습니다. 항등함수는 나중에 역함수 관계에서도 나오는 중요한 녀석입니다. 항등함수의 특징은 원점을 지나고 45도 각도를 이루며 그려지는 함수입니다. 지난 포스팅 함수 성립조건에서 ' 모든 정의역은 무조건 단 하나의 치역만 가져야 한다 ' 라고 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함수 그래프에 세로선을 그어보면 항등함수도 함수 성립 조건에 부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항등함수 식은 x와 y좌표가 같다는 뜻이므로 y.. 2023. 3. 21.
정적분 아르키메데스의 위대한 발견 이번 포스팅은 정적분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정적분은 면적의 넓이를 의미하죠. 정적분을 구하는 공식이 따로 있지만 유명한 수학자 아르키메데스 선생님이 발견하신 정적분 풀이 방법이 있습니다. 이차함수와 다른 직선이 만나는 점들을 A,B 라고 해보겠습니다. 점 A,B를 지나는 직선과 평행 하고 이차함수에 접하는 접점을 C라고 하겠습니다. ( 평행하는 직선이라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때의 접점 C와 점 A,B를 이어주면 삼각형 ABC가 만들어집니다. 이 삼각형의 넓이를 구한 후, 4/3(3 분의 4)배를 해주게 되면 정적분 공식을 사용하지 않아도 정적분을 구할 수 있습니다. 정적분 공식 합리화를 마친 뒤에 과정을 꼭 이해했다면 아르키메데스 선생님의 정적분 공식도 추가적으로 알아둔다면, 문제 푸는데 조.. 2023. 3. 17.
극한값이 존재하기 위해서는? (함수의 극한값) 안녕하세요. 여러분! 수학 개념 마지막 포스팅이 순간변화율까지 했었네요. 평균변화율과 순간변화율에 대해서 알아봤었죠. 이해가 잘 되셨나요? 따라 하기만 한다면 실력이 많이 늘 거예요. 이번 시간은 극한값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 거예요. 합리화 과정을 꼭 거치고 응용문제를 풀어야 한다는 것! https://twentyforseven.tistory.com/entry/x좌표-증가량-분의-y좌표-증가량-을-무엇이라고-부를까요-함수의-극한 x좌표 증가량 분의 y좌표 증가량 을 무엇이라고 부를까요? (함수의 극한) 안녕하세요. 이제는 새로운 개념에 들어가 볼 거예요. 수 2 함수의 극한입니다. 여러분 평균변화율이라는 단어를 봤을 때 어떤 느낌이 드시나요? 고1 과정에 함수 단원에서 함수의 기울기에 대해 twenty.. 2023. 3.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