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개념

동시호가에 대하여 (주식 시장에 가격을 제시하다.)

by 24for7 2023. 2. 24.

안녕하세요.

저번 시간에는 주식의 주가의 종류에 대하여 알아봤습니다.

잘 보셨나요?

제 글을 봐주시는 분들이 조금씩 늘어난 거 같아서 기분이 너무 좋네요.

감사해요. 여러분들.

이번 포스팅은 동시호가에 대하여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할게요.

일단, 호가 라는 단어의 뜻을 알아야 해요.

호가에서 호 자는 한자로 부를 호 자를 따와서 부르는 가격이라는 뜻이겠네요.

호가는 주식을 매수(사는 것)와 매도(파는 것) 하겠다는 가격을 말해요.

그래서 주식을 사겠다는 가격을 ' 매수호가 '라고 부르며,

주식을 팔겠다는 가격을 ' 매도호가 ' 라고 부르게 됩니다.

따라서

' 투자자가 제시하는 가격 '

이 되겠습니다.

 

주문이 체결이 되는 조건이 있어요.

시간과 수량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요.

시간적으로는 먼저 주문을 넣은 사람의 주문이 체결이 되며,

만약, 주문한 시간이 동일한 경우에는 수량을 더 많이 주문한 사람의 주문이 먼저 체결이 된답니다.

 

주식 시장의 정규장은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 20분까지죠.

동시호가 매매 시간대는

정규장 개장 30분 전인 오전 8시 반부터 9시까지이며,

정규장 마감 후 10분 후까지인 오후 3시 20분부터 3시 반까지입니다.

 

정규장에서 주문을 넣게 되면

체결 조건에 따라 시간과 수량에 따라 주문이 체결되지만,

동시호가매매 시간대에는

주문을 아무리 넣어도 바로 체결이 되지 않는 특징

이 있답니다.

정규장 시작이 될 때 주문이 체결되고, 정규장이 끝나고 10분 후에 주문이 체결이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동시호가는 ' 시간의 원칙을 무시한다. '라는 큰 특징과 가격 왜곡의 위험성을 방지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죠!

 

이렇게 동시호가매매 시간대를 설정해 둔다면

주식의 가격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고 해요.

동시호가의 개념 잘 이해가 가셨나요.

 

자, 이렇게 동시호가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어렵지 않았죠? 참고가 잘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여러분 글 읽어주셔서 항상 감사드립니다.

 

그럼 다음 포스팅에서 만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