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학 개념

일정한 수를 곱하여 나열한다. (등비수열 일반항 공식 합리화)

by 24for7 2023. 2. 19.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은 등비수열에 대해 알아볼 거예요. 

등비수열 공식에 지수법칙이 적용 되기 때문에 모르시는 분들은 지수 법칙 포스팅을 보고 오시면 됩니다!

https://twentyforseven.tistory.com/entry/필독-지수끼리-더한다-지수끼리-뺀다-지수법칙-등비수열에-들어가기-앞서

 

[필독] 지수끼리 더한다. 지수끼리 뺀다. (지수법칙, 등비수열에 들어가기 앞서)

여러분, 저번 시간까지는 등차수열에 대해서 설명을 드렸어요. 합리화는 잘 하셨나요? 이제부터는 등비수열에 대하여 합리화 과정을 통해 익혀보도록 할거에요. 등비수열 설명을 들어가기 앞서

twentyforseven.tistory.com

 

등비수열이란 어느 한 수에 일정한 수를 곱하여 나열한 수열입니다.

등비는 비율(ratio)이 같다 라는 뜻이고 수열은 수의 나열을 의미해요.

첫 번째 수를 3이라고 해볼게요. 일정한 수를 곱해야 하니 이 수를 2라고 해보겠습니다.

그럼 수를 나열해 볼까요?

3, 3*2, 3*2*2, 3*2*2*2, 3*2*2*2*2,..... 이렇게 나열되겠죠? (*는 곱하기입니다.)

지수법칙 포스팅에서 설명했듯이 2를 계속 곱해서 쓰기에는 반복의 불편함이 생기게 되죠.

a1= 3 (첫 번째 수)

a2= 3*2 (두 번째 수)

a3= 3*2*2 (세 번째 수)

a4= 3*2*2*2 (네 번째 수)

몇 번째 수를 an이라 설정하고 n은 1부터 시작해요. n이 곧 몇 번째 숫자인지 나타내주는 것이죠.

 

이렇게 2가 반복적으로 곱해지죠. 2를 '공비'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ratio(비율)의 약자 r이라고 표기를 합니다.

등비수열 일반항 공식을 만들어 봅시다!

첫 번째 수는 2가 없고, 두 번째 수는 2가 1개, 세 번째 수는 2개, 100번째는 99개가 곱해질 거예요.

즉, 등비수열에서 n번째 수는 n-1만큼 공비가 곱해지는 것을 알 수 있어요.

등비수열 일반항 공식으로 만들어 볼 수 있겠죠? 

첫 번째 수는 a1, 공비는 r로 만들어봅시다.

우리나라 말로 표현해 본다면,

"n번째 수는 첫 번째 수에 공비를  n-1 만큼 곱한 수다."

라고 말이죠.

공식을 보며 다시 말로 표현해 볼까요?

"n번째 수는 첫 번째 수에 공비를  n-1 만큼 곱한 수다."

 

이해가 잘 가셨나요?

전 교과서나 수학 문제집에서 공식을 크게 써둔 부분을 없애고 싶어요 ㅋㅋㅋㅋ

이런 부분 때문에 공식만 보고 외우려는 성향 때문에 수학이 어렵게 느껴지는 거라고 생각이 들어요.

공식은 합리화 과정을 거치고 익혀야 한다는 점 꼭 잊지 마세요.

다음 시간은 등비수열의 등비중항 공식을 합리화해볼 거예요.

이번 포스팅은 등비수열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 만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