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개념

주식 시장에 상장을 하다. IPO(기업 공개)

by 24for7 2023. 2. 19.

이번 포스팅은 

IPO(Initial Public Offering; 기업 공개)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할게요.

저번 시간에는 주식회사의 액면가와 공모가 그리고 주가에 대해서 알아봤어요. 

주가가 되려면 공모가를 정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했죠.

이 과정 후 주식 시장에 주식을 내놓아야 사고파는 행위가 이뤄지면서 주가를 형성한다고 말씀드렸어요.

주식 시장에 주식회사의 해당 주식의 매매를 위하여 IPO를 하는 것입니다.

IPO는 기업의 재무 정보를 시장에 공개를 하여 투자자들은 이 기업의 정보를 참고하여 투자를 하게 되는 것이죠.

이렇게 여러분들이 주식 회사의 정보를 통하여 투자하는 데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기업 공개의 과정을 한번 간단하게 보도록 할게요.

  • 1. 대표 주관 회사(증권사) 선정을 합니다.
  • 2. 상장 예비 심사를 받고 통과를 해야 합니다.
  • 3. 회사의 가치와 그동안의 성장을 고려하여 공모가를 정하고 공모주 발행을 합니다.
  • 4. 청약을 통해 회사에 투자하려는 다수의 소액주주들을 모집합니다.
  • 모집 후에 상장을 하여 주식의 매매가 이루지게 됩니다.

 

예를 들어, A가 주식회사 설립 후에 1주당 액면가가 1000원인 주식을 10주 발행을 했습니다.

(시가총액은 주가에 주식수를 곱한 1만 원이 되겠죠?)

A는 자신의 회사를 주식 시장에 상장하기 위해 IPO를 하고 나서 공모가를 설정 후 공모주를 청약을 통해 새로 주식을 발행을 하게 됩니다.

자신의 회사의 가치와 그동안의 성장을 고려하여 1주당 2000원으로 설정하여 90주를 추가로 발행했다고 해볼게요.

그렇다면 기존에 있던 10주와 90주를 발행하여 총 100주가 되었고,

시가총액은 주가 2천 원에 주식수 100주를 곱하여 20만 원이 되게 됩니다.

상장 전에 A는 주주가 본인 밖에 없어서 100%의 지분을 갖고 있었지만,

상장 후 투자자들이 생겨나고 새로운 주주들이 들어오게 되면서 100주 중 A는 10주를 갖고 있으므로,

지분이 10%로 바뀌게 되는 것이죠.

이해하셨나요?

https://twentyforseven.tistory.com/entry/주식회사의-시가총액과-액면가-공모가에-대하여

 

주식회사의 시가총액과 액면가, 공모가에 대하여

저번 포스팅은 잘 보셨나요? 제가 글을 쓰고 나면 몇 분이 읽어주셨는지 확인을 자주 하고 하는데 아직은 많이 없지만 미래에 더 많이 봐주실 분들에게 감사한 마음을 가지며 글을 쓰고 있답니

twentyforseven.tistory.com

 

기업 공개를 함으로써 주식회사는 어떤 변화를 갖게 될까요?

주식회사의 자금이 확보가 됩니다. 또한, 주식의 거래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기존 투자자들의 투자금을 회수가 용이해지게 됩니다.

(IPO) 주식 상장은 매우 까다롭고 복잡한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상장된 회사인 타이틀을 확보하게 되면서 주식회사의 신인도가 매우 높아지는 효과도 얻을 수 있겠죠?

위처럼 장점이 있다면 단점도 분명 존재할 겁니다.

새로운 주주들이 생겨나기 때문의 기업의 소유권이 분산되는 상황이 생기게 되죠. 

그리고 기업의 정보를 공개한 상태이기 때문에 그 회사만의 정보가 누출될 수 있는 위험도도 생기게 됩니다.

실제로 이러한 이유들로 상장을 안 하려는 회사들이 꽤 있다고 해요.

 

자, 이렇게 상장 전 IPO(기업 공개)를 하게 되는 것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읽으면서 이해가 잘 되고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어요.

다음 시간에 만나요~